서하 경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하 경종은 탕구트 족장의 가계를 이어받아 서하를 건국한 황제이다. 젊은 시절부터 지략이 뛰어나 1038년 황제에 즉위하여 국호를 대하(大夏)로 정하고, 수도를 흥경부(興慶府)로 정했다. 송나라와 요나라에 대항하며 세력을 확장했고, 서하 문자를 창제하는 등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만년에는 술에 빠져 국정을 어지럽히기도 했으며, 1048년 아들 이녕령가에게 살해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03년 출생 - 에드워드 참회왕
에드워드 참회왕은 11세기 잉글랜드의 왕으로, 망명 생활 후 왕위에 올라 귀족들과 권력 다툼을 벌였고, 후계자 부재로 노르만 정복의 원인을 제공했으며, 웨스트민스터 사원을 건설하고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1003년 출생 - 콘라트 2세 폰 케른텐 공작
콘라트 2세 폰 케른텐 공작은 케른텐 공작 콘라트 1세의 아들로, 1024년 독일 왕위 계승을 양보하고 케른텐 공작위를 약속받아 1035년에 공작이 되었으나, 반란 실패 후 1039년에 사망했다. - 탕구트 사람 - 서하 의종
서하 의종은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모후와 외척의 섭정을 받다가 친정을 통해 정치 개혁을 추진한 서하의 제2대 황제이다. - 탕구트 사람 - 이덕명
이덕명은 서하의 기틀을 다진 하왕으로, 양속 외교와 서역 경영을 통해 세력을 확장하고 도성을 흥경부로 이전하는 등 서하 발전에 기여하여 사후 광성황제로 추증되고 묘호는 태종으로 올려졌다. - 1048년 사망 - 비루니
알 비루니는 호라즘에서 태어난 페르시아의 박식가로서 천문학, 수학, 지리학, 역사, 물리학, 약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인도 아대륙의 문화와 과학에 대한 연구로 유명하다. - 1048년 사망 - 미나모토노 요리노부
가와치 겐지의 시조로 여겨지는 미나모토노 요리노부는 헤이안 시대 중기의 무장으로, 간토 및 도고쿠 지방에서 기반을 다지고 다이라노 타다쓰네의 난을 평정하여 미나모토 가문의 권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서하 경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휘 | 이원호(李元昊), 조원호(趙元昊), 훼명낭소(嵬名曩霄) |
당구트어 이름 | 위매(嵬埋) |
출생일 | 1003년 6월 7일 |
사망일 | 1048년 1월 19일 |
매장지 | 태릉(泰陵, 서하 왕릉 3호 무덤으로 추정) |
아버지 | 이덕명 |
어머니 | 위모씨(衛慕氏) |
통치 | |
서하 황제 즉위 | 1038년 11월 10일 |
서하 황제 퇴위 | 1048년 1월 19일 |
다음 통치자 | 의종 |
하 공작 즉위 | 1032년 |
하 공작 퇴위 | 1038년 11월 10일 |
이전 통치자 | 이덕명 |
다음 통치자 | 황제 칭호 선포 |
묘호 | 경종(景宗) |
시호 | 무열황제(武烈皇帝) |
존호 | 성문영무숭인지효황제(聖文英武崇仁至孝皇帝) 시문성무흥법건례주효황제(始文盛武興法建禮主孝皇帝) 당구트어: 바람 방향 성의 황제(𘚶𗅡𗍁𘓺𘋨) |
연호 | 현도(顯道): 1032년~1034년 개운(開運): 1034년 광운(廣運): 1034년~1036년 대경(大慶): 1036년~1038년 천수예법연조(天授禮法延祚): 1038년~1048년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야리 황후 선목혜문 황후 |
기타 정보 | |
이름 | 이원호(李元昊) 척발원호(拓跋元昊) |
2. 생애
탕구트 족장의 가계를 이어받은 이원호는 젊어서부터 지략과 용맹이 뛰어났고, 그림과 법률, 불교 교리에도 능통했다.[5] 1032년 아버지 이덕명이 죽자 서평왕의 지위를 이어받았고, 1038년 탕구트 부족들을 통합하여 황제에 즉위하고 국호를 대하(大夏)로 정했다. 송나라는 이 나라를 서하(西夏)라고 불렀다.[1]
경종은 흥경부(현재의 닝샤 후이족 자치구 인촨 시)를 수도로 정하고, 송나라의 제도를 모방하여 관직 제도를 정비하고 학교를 세워 교육을 장려하는 등 국가의 기틀을 다졌다.[1] 또한 요나라와 송나라에 대항하여 오르도스와 간쑤 서부 지방을 점령하고, 남쪽으로는 란저우를 점령하고 토번과 싸워 세력을 확장했다. 1044년 송나라와 조약을 맺어 탕구트족이 송의 주권을 형식적으로 인정하고, 송나라는 서하에 매년 은 5만 냥, 차 2만 근, 비단 13만 필을 세폐(歲幣)로 바치는 것으로 강화가 성립되었다.[1]
야리 런잉을 등용하여 서하 문자를 만들게 하는 등, 서하의 문화 향상에 힘썼다.[3]
그러나 만년에는 술에 빠져 국정을 어지럽혔다. 황후 야리씨와 태자 이녕령가를 폐위하고, 1048년에는 이녕령가에 의해 살해당했다. 향년 46세였다.[1]
2. 1. 초기 생애와 배경
탕구트 족장의 가계를 이어받은 후손으로, 젊어서부터 지혜와 용맹이 뛰어났고, 그림과 법률, 불교 교리에도 뛰어난 인물이었다고 한다.[5] 그는 재능있는 군 사령관으로 묘사되었으며, 항상 탕구트족을 위한 국가를 건설하기를 원했다. 현도 원년(1032년), 아버지 탁발위명이 사망한 후, 그는 탕구트족의 지도자가 되었다.2. 2. 서하 건국
탕구트 족장의 가계를 이어받은 이원호는 젊어서부터 지략과 용맹이 뛰어났고, 그림, 법률, 불교 교리에 두루 능통한 인물이었다.[1] 1032년(현도 원년) 아버지 이덕명이 죽자 서평왕의 지위를 이어받았다.[1] 이후 탕구트 부족들을 무력으로 통합하여, 1038년(대경 3년) 마침내 황제에 즉위하고 국호를 대하(大夏)로 정하였다.[1] 송은 이 나라를 서쪽에 있다고 하여 서하(西夏)라고 불렀다.[1]서하의 수도는 흥경부(興慶府, 현재의 닝샤 후이족 자치구 인촨 시)였다.[2] 경종은 송나라의 제도를 모방하여 관직 제도를 정비하고 문무 관리들의 복식을 제정했다.[1] 또한 천수예법연조(天授禮法延祚)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고, 학교를 세워 교육을 장려하고 군사력을 강화하는 등 국가의 기틀을 다졌다.[1]
2. 3. 군사적 업적과 대외 관계
경종은 송나라와 요나라에 대항하여 오르도스와 간쑤 서부 지방을 점령하였다. 남쪽으로는 란저우를 점령하고 토번과 싸워 사방으로 세력을 확장하여 서하의 번영을 이끌었다. 그는 전성기에 50만 명의 군대를 거느렸다고 알려져 있다.[7][8] 1034년에는 환경로(環慶路)를 공격하여 송나라 장군 기종거(齊宗矩)를 사로잡기도 했다.경종은 중국의 반역자 Zhang Yuan|장원 (서하)중국어 (張元)과 Wu Hao|오호 (서하)중국어 (吳昊)의 도움을 받아 송나라에 대해 공격적인 태도를 취했다.[7][8] 탕구트 제국은 세 번의 큰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송나라의 초토화 작전으로 인해 병력이 고갈되는 등 큰 대가를 치렀다.
결국 1044년 서하는 송나라와 조약을 맺어 탕구트족이 송의 주권을 형식적으로 인정하고, 송나라는 서하에 매년 은 5만 냥, 차 2만 근, 비단 13만 필을 세폐(歲幣)로 바치는 것으로 강화가 성립되었다. 이 조약을 통해 서하는 관영 무역장에서의 교역 허가를 얻어 경제적 이익을 얻었다.
한편, 경종은 서쪽의 고창국으로 목표를 변경하여 1036년부터 군사 작전을 시작했다. 그는 위구르족으로부터 간쑤성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고, 탕구트족은 원나라에 정복되기 전까지 191년 동안 허시 회랑을 지배했다.
2. 4. 문화 정책과 서하 문자 창제
1032년 아버지 이덕명이 사망하자 서평왕의 지위를 이어받은 이원호는 1038년까지 탕구트 부족들을 통합하고 황제에 즉위하여 국호를 대하(大夏)로 정했다. 송나라는 이 나라를 서하(西夏)라고 불렀다. 이원호는 송의 제도를 모방해 관제를 정비하고 문·무관의 복식을 정했으며, 학교를 세워 교육을 장려하고 군비를 증강했다.이원호는 서하 문자를 창제하여 서하의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3] 그는 중국어를 알고 있었으며, 중국 문헌을 탕구트어로 번역하도록 지원했다.[1] 야리 런잉을 등용하여 서하 문자를 만들게 하는 등, 서하의 문화 향상에 힘썼다.[3] 그러나 당구트 문자는 결국 원나라의 정복 이후 소멸되었다.[1]
2. 5. 말년과 죽음
만년에는 술에 빠져 서하가 어지러워지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황후 야리씨(野利氏)와 그 소생의 태자 이영명(영녕가)을 폐하고 천수예법연조 11년에는 영명을 죽였다.[1] 그 해에 이원호 역시 사망하였다. 향년 46세였다.[1]1048년, 재상 모장아방과 영녕가가 경종을 암살하려 했다. 영녕가가 검으로 경종을 죽이려 했으나, 경종의 코만 베는 데 그쳤다. 영녕가는 자신이 한 일에 겁을 먹고 모장에게 도움을 청했지만, 모장은 암살범으로 영녕가를 고발하여 배신했다.[2]
경종은 암살 시도에서 살아남았지만, 며칠 뒤 상처로 인해 사망했다.[2]

3. 가계
서하 경종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 부친: 태종 광성황제 이덕명
- 모친: 혜자돈애황후 위모씨
- 황후: 헌성황후 야리씨
- 후궁: 선목혜문황후 몰장씨
- 아들: 이양조(의종) (6남)
李諒祚중국어
3. 1. 조부모와 부모
조부모와 부모 |
---|
3. 2. 형제자매
이름 |
---|
덕림공주 |
원정공주 |
이성우 |
이성외 |
3. 3. 황후와 후궁
배우자 | 비고 |
---|---|
옹목씨(衛慕氏) | 장남 |
헌성황후 야리씨 | 1048년 사망. 슬하에 태자 이녕명(셋째 아들), 태자 이녕령(넷째 아들), 이석리(다섯째 아들)를 두었다. |
몰이씨(沒移氏) | 1049년 사망. 몰이개산의 딸이자 이녕령가의 전 부인. |
선목혜문황후 몰장씨 | 1056년 사망. 몰장아방의 여동생. 슬하에 이량좌(하의종)(여섯째 아들)를 두었다. |
묵목씨(默穆氏) | |
색씨(索氏) | |
도라씨(多拉氏) | |
밀극묵특씨(密克默特氏) | |
요나라 흥평공주(興平公主) 야율씨(耶律氏) | 1038년 사망 |
미미씨(哶迷氏) | 슬하에 이차리(둘째 아들)를 두었다.[9] |
3. 4. 자녀
이름 | 출생-사망 | 생모 | 비고 |
---|---|---|---|
이아리(李阿哩) | ? ~ 1045년 | 미미씨 | 경종에게 피살[9] |
이영명(李寧明) | ? ~ 1042년 | 헌성황후 야리씨 | |
이영령가(李寧令哥) | 1032년 ~ 1048년 | 헌성황후 야리씨 | 경종 암살 시도 실패 후 참수 |
이석리(李錫狸) | ? | 헌성황후 야리씨 | |
이양조(李諒祚) | 1047년 ~ 1068년 | 선목혜문황후 몰장씨 | 의종 |
4. 등장 작품
참조
[1]
뉴스
西夏王陵简介
http://www.nxxwl.com[...]
宁夏西夏陵
2012-12-14
[2]
간행물
西夏皇帝尊号考略
http://rdbk1.ynlib.c[...]
2022-01-14
[3]
서적
夏漢字典 [Tangut-Chinese Dictionary]
中國社會科學出版社 [Zhongguo shehui chubanshe]
[4]
서적
辞海:1999年版缩印本 [Ci hai: 1999 nian ban suo yin ben]
上海辞书出版社 [Shanghai ci shu chu ban she]
[5]
간행물
元昊改姓考
https://www.docin.co[...]
2013
[6]
서적
夏漢字典 [Tangut-Chinese Dictionary]
中國社會科學出版社 [Zhongguo shehui chubanshe]
[7]
웹사이트
大宋著名汉奸:好水川之战辅助李元昊大败宋军,科举制度因他改变
https://www.163.com/[...]
2018-11-21
[8]
웹사이트
当王霸耳李元昊,称帝建国三鼎立
https://zhuanlan.zhi[...]
2020-08-06
[9]
서적
《中国民族史人物辞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